오늘은 모바일 광고 및 앱 성장 플랫폼을 운영하는 디지털 터빈(Digital Turbine)입니다. 한국 투자자들에게는 아직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최근 급등세를 보이며 성장 가능성을 다시금 입증한 기업입니다. 디지털 터빈의 핵심 사업과 향후 전망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기업 개요와 주요 이슈
✅기업 개요
설립연도: 1998년
상장일: 2015년 1월 21일 (NASDAQ: APPS)
사업분야: 모바일 광고 및 앱 성장 플랫폼
주요 제품:
온디바이스 솔루션(ODS): 스마트폰 제조업체(OEM) 및 이동통신사(MNO)와 협업하여 기기 내에서 직접 광고 및 콘텐츠 배포
앱 성장 플랫폼(AGP): 퍼블리셔 및 앱 개발자를 위한 광고 수익화 및 마케팅 솔루션
매출 비중:
온디바이스 솔루션(ODS): 68%
앱 성장 플랫폼(AGP): 32.8%
시가총액: $5억 1,453만 (2025년 2월 9일 기준)
디지털 터빈은 모바일 광고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온디바이스 솔루션을 통한 수익 모델이 기존 디지털 광고사들과 차별화된 점이 강점입니다. 다만,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광고 시장 위축이단기적인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매일 매일 카톡으로 쉽고 편하게 경제와 영어 공부를 한번에! 배너 클릭해서 자세히 보기! 😊
📝오늘의 이슈 요약
2025년 2월 7일
3분기 실적 발표 후 주가 96% 폭등
2025년 2월 6일
신임 CFO 스티븐 라셔 영입 소식으로 주가 20% 급등
디지털 터빈의 주가 급등은 단순한 기대감이 아니라, 실적 개선과 경영진 변화에 따른 구체적인 성장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특히,신임 CFO 스티븐 라셔는IBM 및 보나지에서 재무 전략을 담당한 경험이 있어,기업의 재무 구조 개선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응형
📝 실적 분석
✅주요 실적 요약
2025 회계연도 3분기 매출: 135M 달러 (예상치 상회)
✅52주 주가 동향
최고가: $5.20
최저가: $1.18
현재가: $4.90
손익계산서
단위 : 백만(USD 미국 달러)
항목
22년 9월
22년 12월
23년 3월
23년 6월
23년 9월
23년 12월
24년 3월
24년 6월
24년 9월
24년 12월
매출액
175
162
140
146
143
143
112
118
119
135
매출원가
86
83
81
79
78
79
61
64
65
149
매출총이익
89
80
59
67
66
64
51
54
54
-
총 영업비용
154
153
149
151
296
152
320
134
132
-
영업이익
21
10
-9
-5
-153
-9
-208
-16
-14
-
영업외 이자수익(비용)
-6
-7
-8
-5
-10
-7
-8
-7
-10
-7
기타
0
0
0
0
0
0
0
0
0
-1
세전이익
16
3
-17
-10
-162
-17
-216
-23
-24
-21
법인세비용
4
-1
-3
-2
-1
-3
20
2
1
2
세후이익
12
4
-14
-8
-161
-14
-237
-25
-25
-
비지배주주지분
0
0
0
0
0
0
0
0
0
0
경상이익
12
4
-14
-8
-161
-14
-237
-25
-25
-
순이익
12
4
-14
-8
-161
-14
-237
-25
-25
-
특별손익 제외 순이익
12
4
-14
-8
-161
-14
-237
-25
-25
-
특별손익 포함 순이익
12
4
-14
-8
-161
-14
-237
-25
-25
-23
희석순이익
12
4
-14
-8
-161
-14
-237
-25
-25
-
[재무제표 추가 분석]
원가율
49.14%
51.23%
57.86%
54.11%
54.55%
55.24%
54.46%
54.24%
54.62%
110.37%
매출 성장률(QoQ)
-7.43%
-13.58%
4.29%
-2.05%
0.00%
-21.68%
5.36%
0.85%
13.45%
매출 성장률(YoY)
-18.29%
-11.73%
-20.00%
-19.18%
-16.78%
-5.59%
순이익 (QoQ)
-66.67%
-450.00%
42.86%
-1912.50%
91.30%
-1592.86%
89.45%
0.00%
순이익 (YoY)
-1441.67%
-450.00%
-1592.86%
-212.50%
84.47%
영업비용 대비 매출액 비율
113.64%
105.88%
93.96%
96.69%
48.31%
94.08%
35.00%
88.06%
90.15%
이익률
6.86%
2.47%
-10.00%
-5.48%
-112.59%
-9.79%
-211.61%
-21.19%
-21.01%
디지털 터빈은 최근 실적 개선으로 투자자들의 관심을 다시 끌어모으고 있습니다.
다만, 현재 재무 구조가 다소 취약한 상태입니다.
단기적으로 광고 시장의 회복과 비용 절감 노력이 필요하며, 부채 부담을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리스크가 큰 만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며, 매출 성장과 이익 개선 여부를 면밀히 지켜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임 CFO이 꾸준한 재무 개선을 이루고, 광고 시장 회복과 맞물려 온디바이스 솔루션의 성장이 이루어 진다면
매력적인 투자 옵션으로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주린이, 재테크 입문 사회초년생들 모여라!! 매일매일 카톡으로 쉽게 경제 공부 하자! 클릭해서 자세히 보기!
📝 가치 평가
PER
PBR
PSR
-1.8배 (중앙값: -1.0배)
3.1배 (중앙값: 2.0배)
1.1배 (중앙값: 1.9배)
주가수익비율, *PER 1 = 1년동안 당기 순이익이 시가 총액과 같음 ' - ' 는 적자 상태
주가순자산비율, 기업의 현재 주가가 기업이 진 빚을 빼고 남은 자산(순자산가치)에 비해 얼마나 높거나 낮은지를 나타냄
기업의 주가를 매출과 비교, 기업의 매출에 비해 현재 주가가 얼마나 평가되고 있는지 나타냄
현재 PER이 마이너스라는 점은 적자가 지속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PBR이 3배 이상이라는 것은 미래 성장성을 반영한 시장의 기대감이 크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단기적인 리스크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PSR이 업계 평균보다 다소 낮게 보이는 것 또한 실적 개선이 지속된다면 가치 재평가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줍니다.
📝 재미로 보는 미국 개미와 한국 개미의 온도차
[공감을 많이 받은 커뮤니티 분석]
한국 개미: 긍정 70%, 부정 30%
미국 개미: 긍정 80%, 부정 20%
주요 키워드:
한국 개미: "급등주", "반등", "저평가"
미국 개미: "턴어라운드", "실적 개선", "기관 매수"
미국 개미들은 실적 개선과 기관 투자자들의 관심 증가에 집중하는 반면, 한국 개미들은 단기적인 주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높습니다.
당분간은 단기적 변동성이 클 수 있으니 뒤늦은 추격매수 보다는 잠시 관망하며 변동 패턴을 파악하시거나 기업의 장기적 성장 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해 보입니다.
📝 이것만 알고 볼까요?
✅산업 배경:
글로벌 모바일 광고 시장 규모: 2024년 기준 $4,000억 이상
2028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9.2% 예상
AI 기반 광고 타겟팅 기술 발전으로 성장 가능성 확대
✅기업 주력 상품:
온디바이스 솔루션: 스마트폰 제조사와 협업하여 기본 앱 설치 및 광고 제공
앱 성장 플랫폼: 앱 개발사 대상 광고 및 수익화 솔루션 제공
✅기업 강점:
강점: OEM 및 MNO와의 협업으로 강력한 유통망 확보
약점: 광고 시장 변동성에 따른 수익 변동 리스크
디지털 터빈은 모바일 광고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지만, 광고 시장의 불확실성이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AI 기반의 광고 최적화 기술과 글로벌 OEM 및 통신사와의 협업 구조는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뒷받침합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변동성을 감안하되,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의 전략과 시장 흐름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일 매일 카톡으로 쉽고 편하게 경제와 영어 공부를 한번에! 배너 클릭해서 자세히 보기! 😊
주린이, 재테크 입문 사회초년생들 모여라!! 매일매일 카톡으로 쉽게 경제 공부 하자! 클릭해서 자세히 보기!